그람-슈미트 직교성 (Gram-Schmidt orthogonalization) 이해를 위한 개념

  • 내적 (inner product): 두 벡터의 닮음 정도 (직각으로 갈수록 0에 가까워지고, 반대 방향의 경우 음수)
  • 투영 (projection): 벡터 A에서 벡터 B로 직각 내렸을 때 (빛을 쏘면 어두워지는 영역을 생각하면 됨) A와 B가 맞닿는 벡터가 vector projection, 그 벡터의 길이가 scalar projection
  • 놈 (norm): 기준점에서 한 벡터까지의 거리 (길이) 로서, 여러 놈이 있음
    • L0 norm: 길이를 나타내는 norm 의 개념이 아니라 vector 값 중 0이 아닌 값 개수
    • L1 norm: Manhattan distance 로 계산된 값
    • L2 norm: Euclidean distance 로 계산된 값으로, 같은 좌표가 주어졌을 때 L1 norm 보다 길이가 긴 편
    • L-infinity norm: max norm 이라고 불리며 vector 값 중 절대값이 가장 큰 값

 

두 벡터의 내적이 0 일 경우, 두 벡터는 직교한다.

벡터 A에 대한 직교 벡터 B를 구하는 방법은 벡터 A에서 벡터 A를 투영한 벡터를 빼면 된다.

위 그림은 연속된 벡터셋이 주어졌을 때 벡터 (Vk) 마다 직교하는 벡터 (Uk) 를 구하는 방법을 나타낸다.

식에 주어진 projection operator 는 위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. <> 표현은 내적을 뜻한다. 예를 들어 <U, U> 는 벡터 U와 벡터 U의 내적을, <V, U> 는 벡터 V와 벡터 U의 내적을 나타낸다. Uk와 무관한 'U'의 뜬금 없는 등장은 이 식이 연속된 벡터가 주어졌을 때 순서대로 직교성을 파악하기 위한 전개식으로, Uj의 j는 k-1으로 보면 된다.

 

직교화를 기하학적으로 생각하면 벡터 U 자신의 내적은 닮다 못해 아예 같이 때문에 최대 값이 될 거고, 이 값을 벡터 V와 벡터 U의 닮음 정도에 나누면 그 비율을 구할 수 있다. 이 비율을 벡터 U와 곱하면 비율만큼 길이에 변화가 생긴 벡터 U'가 나오게 되고, 이 U'가 바로 벡터 V와 직교하는 벡터가 된다.

 

그람-슈미트 직교화의 전 과정은 아래와 같다.

첫번째 직교벡터는 대상벡터로 지정하고, 두번째부터 projection operator 를 이용해 각 직교벡터를 구하면 된다.

 

예를 들어, 기저 벡터 집합 3개가 있다.

y1=[111],y2=[100],y3=[010]

그람-슈미트 직교화를 이용해 직교 집합을 찾으려면

1단계:

v1=y1=[111]

2단계:

v2=y2v1Ty2v1Tv1v1=[100][111][100][111][111][111]=[100][131313]=[2/31/31/3]

3단계:

v3=y3V1Ty3v1Rv1v1v2Ty3v2Tv2v2

v3=[010][111][010][111][111][111][2/31/31/3][010][2/31/31/3][2/31/31/3][2/31/31/3]

v3=[010][1/31/31/3][1/31/61/6]=[01/31/3]

이렇게 3단계로 구할 수 있다.

'UoL > Mathematic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Vector Normalisation 벡터 정규화  (0) 2023.10.24
Moore-Penrose inverse 무어-펜로즈 의사역행렬  (0) 2023.09.13
Pascal's rule  (0) 2021.09.02
Combinations with repetition  (0) 2021.08.26
Permutation with repetition  (0) 2021.08.26

+ Recent posts